홋카이도 신궁은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해 있으며, 홋카이도 지역의 총 수호 신사입니다. 이 신사는 홋카이도 개척 초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당시 홋카이도는 사할린과 쿠릴 열도와 서로 마주 보고 있었고, 러시아에 대한 방어를 고려하여 신궁의 정문은 특별히 북동쪽을 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신궁 경내에 있는 분사인 ‘개척신사’는 홋카이도 개척 사업에 중요한 공헌을 한 여러 인물들을 모시고 있으며, 그 예로 시마 요시타케(島義勇)와 마미야 린조(間宮林蔵) 등이 있습니다.
신궁 건립의 기원은 메이지 2년(18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메이지 천황은 도쿄에서 홋카이도 개척을 수호하는 세 신을 제사하도록 명했고, 이 세 신은 오쿠니타마노카미(大國魂神), 오나무치노카미(大那牟遲神), 스쿠나히코나노카미(少彥名神)로, 이들은 합쳐서 ‘개척삼신’이라 불립니다. 이후 당시 개척사 장관이던 히가시쿠제 미치토시(東久世通禧)와 개척판관 시마 요시타케가 이 세 신을 삿포로로 모시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메이지 3년(1870년)에는 삿포로에 임시 신사가 세워졌고, 메이지 4년(1871년)에는 현재 신궁이 있는 자리에 정식 신사가 건립되었으며, ‘삿포로 신사’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후 쇼와 39년(1964년)에는 메이지 천황도 함께 합사되었고, 신사의 이름도 현재의 ‘홋카이도 신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후 일본 전국 이치노미야 협회는 홋카이도 신궁을 에조국의 새로운 이치노미야로 공식 인정하였으며, 이는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격식을 가진 신사임을 상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