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현(宜蘭縣)은 중화민국의 한 현으로, 대만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북서쪽은 신베이시(新北市)와 접하고, 서쪽은 타오위안시(桃園市)와 신주현(新竹縣), 남서쪽은 타이중시(台中市)와 인접해 있습니다. 남쪽은 화롄현(花蓮縣), 동쪽은 태평양에 면해 있습니다. 현청 소재지는 이란시(宜蘭市)이며, 현 전체에는 1개 시(市), 3개 진(鎮), 8개 향(鄉) (이 중 2개는 산지향)으로 총 12개의 행정 구역이 있습니다. 이란현은 전통 극인 **가재희(歌仔戲)**의 발상지로, 중요한 문화적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리
이란현의 평야는 주로 **란양평야(蘭陽平原)**로 이루어져 있으며,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동쪽은 태평양(필리핀해)에 면해 있습니다. 이 평야는 란양시(蘭陽溪)의 충적 작용으로 형성되었으며, 토양이 매우 비옥하여 동부 대만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일본 통치 시대에 이란선(宜蘭線) 철도가 완공되어 교통이 편리해졌으며, 당시 타이베이주(台北州)에 편입되었습니다. 2006년에 국도 5호선이 개통되면서 이란과 타이베이 간의 교통 시간이 1시간 이내로 대폭 단축되었습니다.
이란현 남부의 **난아오향(南澳鄉)**은 산이 많은 지역으로, 화롄현과 접해 있습니다. 전역을 종단하는 **수화공로(蘇花公路)**가 주요 교통 간선 도로로 활용됩니다. 서쪽은 **쉐산산맥(雪山山脈)**이 경계를 이루며, 쉐산(雪山)과 다바젠산(大霸尖山) 등 산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서부의 타오위안시 푸싱구(復興區), 신주현 젠스향(尖石鄉), 타이중시 허핑구(和平區)와 접하고 있으며, 리산(梨山)과 우링농장(武陵農場) 등의 교통 요충지가 이곳을 통해 연결됩니다.
동쪽은 태평양에 접해 있으며, 더즈커우시(得子口溪) 하구에서 란양시 하구까지 이어지는 모래 언덕이 뱀의 모양을 닮았습니다. 또한, 해안에 위치한 귀산도(龜山島)가 거북 모양을 하고 있어 **"거북과 뱀이 바다 입구를 지킨다(龜蛇守海口)"**는 말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민간 전설에 따르면, 이는 란양평야를 보호하는 풍수 지형으로 여겨져 이 지역의 물산이 풍부한 이유로 설명됩니다.
이란현의 상업 중심지는 **루오둥진(羅東鎮)**으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입니다. 이란시는 현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자 이란현 정부가 위치한 행정 중심지이기도 합니다. 이 두 도시는 란양시의 북쪽(이란시)과 남쪽(루오둥진)에 위치하며, 각각 지역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후
이란현은 예로부터 비가 많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만 속담에 **"죽풍난우(竹風蘭雨)"**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이는 신주(新竹)의 강풍과 이란의 잦은 비를 나타냅니다. 란양평야는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동쪽이 바다와 맞닿은 지형으로, 특히 지형성 강우가 쉽게 발생합니다. 겨울철 북동 계절풍이 강하게 부는 시기에는 바다에서 불어오는 기류로 인해 겨울비가 몇 달 동안 이어지곤 하며, 이는 이란 고유의 기후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봄철 매화비(梅雨) 기간에도 가랑비가 몇 달 동안 지속되며, "죽풍난우"라는 이미지를 더욱 깊게 합니다.
대만 북부와 동부의 가을 및 겨울 기후는 바로 **"죽풍난우"**라는 특징으로 요약됩니다. 바람의 영향은 먀오리현(苗栗縣)에서 신베이시까지, 비의 영향은 신베이시에서 이란현까지 이어지며, 그 경계는 싼즈(三芝)와 스먼(石門) 부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침수 취약 지역
이란현 내 침수 취약 지역으로는 우위안(武淵), 전주(珍珠), 산두(三堵), 보청디(補城地), 52갑 습지(五十二甲濕地), 우제(五結), 장웨이(壯圍), 스차오(時潮) 지역, 그리고 이란시, 루오둥진, 자오시향(礁溪鄉)의 도심 지역이 포함됩니다. 이들 지역은 지형이 낮거나 배수 조건이 제한되어 있어 폭우 시 특히 침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